
지원 대상 및 규모: 누가, 얼마나 지원받나요?
본 사업은 충남 지역의 기업 및 기관이 면접 수당을 신청하고, 실제 수당은 해당 기업 면접에 참여한 구직자에게 지급되는 ‘이중 수혜 구조’를 갖습니다. 이는 기업의 채용 활동 촉진과 구직자의 경제적 부담 완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중점을 둡니다.
세부 지원 대상 요건
- 신청 주체 (기업/기관): 충청남도에 소재한 모든 형태의 구인 기업 또는 기관이 해당됩니다.
- 최종 수혜자 (구직자): 선정된 충남 소재 기업/기관의 채용 면접에 실제로 참여한 구직자입니다.
면접수당 지급 규모 (1인 기준)
구분 | 지원 금액 | 최대 지원 횟수 |
---|---|---|
구직자 면접수당 | 1인당 30,000원 | 최대 3회 |
지원금은 구직자의 교통비, 식비 등 실질적인 면접 비용을 지원하며, 1인당 총 90,000원(최대 3회)까지 지원하여 지속적인 구직 활동을 독려합니다.
신청 주체, 기간 및 필수 구비 서류 상세
가장 중요한 점은 면접수당의 지급 신청 주체가 개별 구직자가 아닌, 충남 소재의 구인 기업 또는 기관이라는 사실입니다. 기업이 면접을 마친 후 구직자에게 지급할 수당을 모아 충남경제진흥원에 신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 신청은 지정된 이메일을 통한 서류 접수로 간편하게 처리됩니다.
신청 기간 및 유의사항 (예산 소진 주의)
신청 기간: 2025년 2월 2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상시 신청 가능
🚨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유의:
본 사업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진행되므로, 정해진 기간과 관계없이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기업(기관)에서는 채용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신속한 신청 절차를 진행해 주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기업/기관이 준비할 주요 구비 서류 (2단계 프로세스)
지원금 신청은 사업 참여 자격을 확정하는 ‘참가 신청’과 실제 수당 지급을 청구하는 ‘지급 신청’의 두 단계로 나뉘며, 각 단계별 필수 제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.
1. 사업 참가 신청 시 (기업/기관 등록)
- 참가신청서 (지정된 양식)
-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
- 사업자등록증 사본 (필수 확인 서류)
2. 면접 수당 지급 신청 시 (면접자별 청구)
- 지급신청서 및 지급신청 내역서 (면접일시, 대상자 명시)
-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(면접자 정보 활용)
- 이력서 사본(앞장) 또는 면접 참여 증명 서류
💡 제출 유의사항 및 문의처
모든 서류는 공식 양식에 맞춰 작성해야 하며, 제출은 이메일 신청만 가능합니다. 양식 다운로드 및 기타 상세 문의는 충남경제진흥원 일자리지원팀 (☎041-404-1412)으로 연락 바랍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) 및 적극 활용 당부
본 지원 사업은 구직자에게 면접당 30,000원(최대 3회, 9만원)을 지원하여 구직 비용 부담을 경감시키고 지역 채용 활성화에 기여합니다. 마지막으로 기업 및 기관에서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들을 모았습니다.
Q. 지원금 신청 기간과 구직자 1인이 받을 수 있는 최대 지원 횟수는요?
A. 신청은 2025. 2. 26.부터 11. 30.까지 상시 접수이나, 예산이 정해져 있어 기간과 관계없이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. 구직자는 면접 1회당 30,000원씩, 최대 3회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Q. 면접에 참여한 구직자가 직접 수당을 신청할 수 있나요?
A. 아닙니다. 면접수당 지급 신청은 충남 소재의 구인 기업 및 기관에서 면접자를 대신하여 이메일로 일괄 신청 및 지급합니다. 구직자는 기업에 이력서 사본(앞장) 등 필수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.
Q. 지원금 관련 문의처와 사업 공고 확인을 위한 홈페이지 주소가 궁금합니다.
A. 가장 빠르고 정확한 안내를 위해 (재)충남경제진흥원 일자리지원팀(☎041-404-1412)으로 연락 주시면 됩니다. 사업의 전체 공고 내용은 진흥원 홈페이지 공고 게시판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적극 활용 당부! 예산 소진 전 신속한 신청이 중요합니다.
신청 마감일은 2025. 11. 30.이지만,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드립니다. 충남 소재 기업 및 기관은 본 사업을 적극 활용하여 우수 인재 확보 기회와 함께 구직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.